마이크로소프트, 윈도우 패키지 매니저에 삭제 명령어 추가

지난해 마이크로소프트는 리눅스 배포판에 있는 apt, yum, pacman 등과 같은 패키지 매니저 개념을 윈도우에 도입하며 Windows Package Manager라는 명령어 기반 유틸리티를 선보였습니다.

 

다만 이 유틸리티는 그동안 설치만 가능하고 삭제가 안 되는 단점이 있었는데, v0.2.10191 Preview

부터 uninstall 삭제 명령어가 추가되었습니다.

삭제 명령어는 아직 실험 기능으로 사용하려면 설정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.

[방법]

1. Windows Package Manager 최신 버전을 설치합니다

2. winget settings ← 라고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메모장이나 다른 텍스트 편집기로 설정 파일이 열립니다.

3. 아래 코드를 설정 파일에 복사 붙여넣기하고 저장합니다.

"experimentalFeatures": {"uninstall": true},

 여기까지 마치면 

winget uninstall (앱 이름)

명령으로 패키지 매니저로 설치한 앱을 삭제할 수 있게 됩니다. 

단 아직 완벽하지 않은 부분도 보이는데, 

(1) 삭제를 실행하면 명령 창에서 끝나지 않고 GUI 기반 언인스톨러가 하나 더 실행된다는 점,

(2) 같은 앱을 지정할 때도 설치할 때 지정하는 앱 이름과, 삭제할 때 앱 이름이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예를 들어 VLC 미디어 플레이어를 설치할 때는

winget install vlc

라고 쓰지만 삭제할 때는,

winget uninstall "vlc media player 3.0.11 (64-bit)"

같은 식으로 해야 삭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 

(단순히 winget uninstall 이라고 쓰면 설치한 앱 목록이 나와 이름을 확인할 수 있기는 합니다.)

Liliputing 사이트 기사에서는 아직까지는 프로그램 추가/제거 창을 실행해 삭제하는 것이 더 빠른 것 같지만, MS에서 패키지 매니저 개발을 계속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일이고, 키보드만으로 프로그램을 추가 삭제할 수 있는 유용한 툴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평가했습니다.

※ 참고 : 앱 설치와 관련,

winstall.app

이라는 비공식 사이트에서는 MS 패키지 저장소

에 올라와 있는 앱들을 검색해 설치 스크립트를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.

(사용법: 앱 검색 → 선택 후 Generate Script 버튼 클릭)

- Now you can uninstall apps with Windows Package Manager (command-line tools)

| Liliputing

- Windows Package Manager Preview adds the ability to uninstall programs

| Neowin

정보게시판

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
90 픽셀 6는 새로운 구글 자체 제작 ‘Whitechapel’ 칩셋으로 구동될것 608 04-03
89 ARM, 차세대 아키텍처 'Armv9' 공개 472 04-01
88 엔비디아 GPU의 Resizable Bar 를 공식지원하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545 03-31
87 샤오미, 새 노트북 Mi Laptop Pro 14 / 15 발표 626 03-31
86 애플, WWDC21 2021년 6월 7일 개최 알려 660 03-30
85 천재 수학자 튜링 담은 50파운드 공개…퍼즐 풀기 이벤트도 674 03-26
84 애플, 유출 방지책으로 파트너 공장들에 더 엄격한 보안 지침 채용해 731 03-25
83 클럽하우스 CEO 왈 여름까지 안드로이드 앱 출시와 모든 사용자들에 앱 개방 예정. 581 03-25
82 '아이폰13, 올해는 9월 셋째 주에 출시” 674 03-23
81 ‘1,000도’를 견뎌라!…항공모함 핵심 기술 개발 ‘첫삽’ 818 03-20
80 CHERRY, MX 울트라 로우 프로파일 스위치 공개 487 03-19
79 윈도우 메모장 새 아이콘으로 변경 · 스토어에서 업데이트 가능 898 03-18
78 경주 지진이네요 523 03-16
77 최근, 윈도우 PC에서 프린트 인쇄시에 블루스크린이 뜰 경우, 참고하세요. 563 03-13
76 많은 안드로이드·iOS 앱, 클라우드 설정 오류로 개인정보 유출되고 있어 603 03-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