달려라 하니 흥행이 안 되는 이유

예매 분포니까 실제 관객은 다를 수도 있지만,

일단 관람객 비율에서 40%가 39%(스샷이 아니라 지금 기준으로는 42%)로 절대적으로 많고,

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애니메이션 주 시청층인 10대+20대 비중은 다 합해 봤자 14%밖에 안 됨

왼쪽은 체인소맨, 오른쪽은 귀멸 예매자 성비/연령대 분포인데,

10대~20대의 비율이 훨씬 높음

이러니 저러니 해도 극장에서 애니메이션 제일 많이 보는 건 10대~20대일 수밖에 없는데,

그 비율이 저렇게 낮다는 건 달려라 하니 극장판이 소싯적에 tv에서 그거 본 사람들 말고는 어필을 못 했다는 거지

(일반적으로는 애니메이션을 잘 안 봐서 관객 비율이 가장 낮은 50대가 10%나 된다는 것도 특이한 사항임)

장르가 달라서 직접적 비교가 안 될 거라 가져오진 않았는데 현재 다른 경쟁작들인

보스/어쩔 수가 없다/트론 같은 영화들은 주 선호층에 약간 차이는 있어도 대체로 20~40대가 고르게 20~30% 정도를 차지하는 편임

스샷 찍어 오는 걸 까먹었는데 '연의 편지' 같은 경우도 이런 쪽(10대 10%, 20대 29%, 30대 20%, 40대 28%, 50대 10%)

2줄 요약

달려라 하니 극장판 흥행이 별로인 건, 추억 보정 없는 세대에게 어필하지 못한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함

하필이면 애니메이션끼리의 경쟁이 빡센 것도 크게 영향을 주긴 했을 거임 (10대 베스트픽: 레제편, 20대 베스트픽: 귀멸, 전반적으로: 연의 편지…).

이슈게시판

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
4640 전세보증금 돌려받기 힘든 이유 1 01:48
4639 소주 절대 안 마신다는 의사 1 00:40
4638 예쁜 여자들은 많지만 잘생긴 남자들은 없다는 말을 반박해보는 쓰레더 2 10-13
4637 캄보디아 한국대사관 근황 3 10-13
4636 캄보디아가 저런 나라가 된 이유 3 10-13
4635 정의가 넘치는 영국 교도소 2 10-13
4634 개그맨 이상운의 이혼 사유 3 10-13
4633 은행이 경악한다는 2030대 파산폭증 이유 3 10-13
4632 20만원 결제하고 몰래 도망간 중년 남성 3 10-13
4631 미국 롯데리아를 사람들이 줄서서 먹던 이유 3 10-13
4630 허경환이 40대 되고 깨달았다는 것 3 10-13
4629 월 생활비만 300만원 주는 남편이 받는 아침밥 3 10-13
4628 체리필터 부르고 난리났던 한양대 3 10-13
4627 외국인들이 참 좋다고 생각하는 어휘 3 10-13
4626 현재 난리난 부여 지역 축제.jpg 3 10-13
역사과학결혼의정석결혼의신광고의비밀성장노트